추석 제사상 차리는법
추석은 우리 민족의 가장 큰 명절 중 하나로, 조상님께 감사와 공경을 표현하는 의례가 이어집니다. 그 중심에는 정성스럽게 준비하는 제사상이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추석 제사상 차리는법의 기본 원칙과 음식 배치를 정리했습니다.
![]() |
제사상 기본 차림 |
제사상 기본 원칙
진설의 순서
제사상을 차릴 때에는 ‘동쪽은 왼쪽, 서쪽은 오른쪽’이라는 전통 원칙을 따릅니다. 이 원칙에 따라 밥, 국, 고기, 생선, 나물, 과일을 놓는 위치가 달라집니다.
밥과 국은 북쪽, 술잔은 중앙, 고기와 전은 서쪽, 나물과 채소는 동쪽, 과일은 남쪽에 놓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밥과 국
밥은 흰 쌀밥을 사용하며, 국은 맑은 탕이 기본입니다. 주로 소고기 맑은 국이나 조개탕을 사용하기도 하며, 가정 전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고기와 생선
고기 요리(산적, 동그랑땡, 전 등)는 서쪽에 놓습니다. 생선은 대체로 조기, 도미를 사용하며,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두는 것이 원칙입니다.
차례상 음식 구성
과일과 나물
과일은 대체로 남쪽에 배치합니다. 배, 사과, 감, 곶감 같은 제철 과일이 대표적이며, 반드시 홀수 개수로 올리는 것이 전통입니다.
나물은 도라지, 고사리, 시금치 등 산·밭 나물을 고르게 준비합니다. 이는 음양의 조화를 의미합니다.
술과 다과
술은 중앙에 놓고, 제례 중 헌작 순서에 맞춰 사용합니다. 또한 약과, 한과 같은 다과류를 함께 올려 명절의 풍성함을 더합니다.
QnA
Q. 제사상은 꼭 전통 방식대로 차려야 하나요?
가정마다 전통이 다르므로, 집안 어른의 의견을 우선하는 것이 좋습니다.
Q. 고기는 반드시 소고기를 사용해야 하나요?
꼭 그렇지는 않으며, 돼지고기 전, 닭고기 요리도 가정 전통에 따라 올릴 수
있습니다.
Q. 과일 개수는 어떻게 정하나요?
대체로 홀수 개수(3, 5, 7개)를 올리는 것이 원칙입니다.
Q. 생선은 반드시 조기를 써야 하나요?
조기가 가장 보편적이지만, 도미나 지역 특산 어종을 올리기도 합니다.
Q. 제사상 차림에서 중요한 점은?
형식보다는 정성과 마음이 가장 중요합니다.